커넥터
Weekly Logistics Newsletter by Pantos
(2월 3주차)
|
|
|
안녕하세요?
Logistics 관련,
주요 소식들을 모아 '위클리 뉴스픽' 으로
정리해 드리는 커넥터 입니다.
※ 뉴스제목을 클릭!! 하시면 관련뉴스로 이동 됩니다. 😉 |
|
|
1월 FOMC* 의사록이 발표되었는데요. 당일 다수의 위원들은 조기 금리인하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였으며 금리인하를 고려하기 전에 인플레이션이 목표(연율 2%)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강한 확신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습니다(아직 많은 리스크 요인이 상존). 다만, 언제까지 높은 수준의 금리를 유지해야 하는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고 전해졌는데요. 금리인하 시기와 관련해서 전문가들의 예상은 금년 6월을 시작으로 총 4회(6, 7, 11, 12월) 각 0.25%p 수준의 금리인하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연방공개시장위원회): 미국의 통화정책을 결정 및 이행 기관 (사진 출처: AFP) |
|
|
아이언그레이는 북미 최초 전기차 배터리 양극재용 전구체(pCAM) 생산공장 건설을 준비중인 어센드엘리먼츠에 1억6200만 달러(약 2,200억 원) 규모의 지분 투자를 발표하였습니다. 어센드엘리먼츠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켄터키주(州) 홉킨스빌에 건설 중인 양극재용 전구체 생산공장 건설에 투입할 계획인데요. 이 시설은 전체 면적 3만㎡ 규모이며, 북미 최초 양극재용 전구체를 생산하는 시설로(2025년이 완공목표) 연간 75만대 전기차에 사용할 수 있는 전구체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될 예정입니다. 동 사는 SK에코플랜트부터 2022년 4월 1,084만 달러, 8월 5,000만 달러, 총 약 6,100만 달러(약 810억 원)를 투자를 받았으며 미래에셋과 신한금융 등도 함께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어샌드엘리먼츠: 2015년 설립,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전문기업, 폐배터리에서 희소 금속 추출하는 기술 및 불순물만 따로 제거 후 공침을 통해 양극재용 전구체까지 생산하는 혁신적인 기술 보유 (사진 출처: 미국 켄터키주(州) 홉킨스빌에 건설 중인 양극재용 전구체 생산공장 전경, 어센드엘리먼츠) |
|
|
한화솔루션은 최근 지분 100%를 소유한 자회사의 형태로 'H테크로지틱스'을 설립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동 사는 한화 그룹 내 다양한 분야의 물류 및 운송 서비스 제공뿐만 아니라 한화솔루션 인사이트 부문이 시행사로 있는 '화성 H테크노밸리'에서 주요한 물류센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요. H-테크노밸리는 화성 동탄에 조성예정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평택 고덕의 '황해권 미래자동차 클러스터' 모두에 인접해 소재·부품·장비사의 물류 수요가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한화솔루션은 H-테크노밸리가 가진 지리적 이점을 고려, 물류 사업을 선택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H-테크노밸리: 경기도 화성시 73만6000㎡ 규모의 조성 예정인 반도체·자동차 특화 산업단지. 2025년 완공 예정
(사진 출처: H-테크노밸리 조감도, 한화솔루션)
|
|
|
LG CNS는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구독형 서비스형 로봇(Robot as a Service·RaaS)을 선정/추진하고 있습니다. 물류창고에서 로봇을 대여해 사용한 뒤 사용한 만큼 금액을 지불하는 임대형 사업모델방식으로 로봇 관리 소프트웨어 연결해주는 ①하이브리드 RaaS와 로봇 관리 플랫폼부터 로봇 공급까지 모두 LG CNS가 책임지는 방식의 ②순수 RaaS 의 2가지 사업모델이 있으며, 최근 사업 확대를 위해 국내 물류 스타트업 '테크타카'*와 협업 준비(PoC 등) 중에 있는 것으로도 알려졌습니다. LG CNS는 2022년 로봇 구독 서비스(하이브리드 RaaS, 순수 RaaS)를 출시 후 여러 기업들과 실증 사업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물류 로봇을 지속적으로 연계하여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테크타카: 2020년 5월 설립, 물류서비스 제공 스타트업체, 아마존과 쿠팡에 출신 창업. S/W 기반 제 3자 물류 제공(3PL)과 풀필먼트 서비스 '아르고(ARGO)'를 운영 중
(사진 출처: LG CNS) |
|
|
포스코DX는 자체 개발한 영상인식 AI 기술, 스마트 도크관리시스템(DMS) 등 을 활용, 국내 최대 규모의 한진 대전 스마트 메가허브*에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물류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영상인식 AI 기술을 통해 80개 하차라인에 작업자를 배치해 수행하던 분류 작업을 자동화 했으며 상품 분류 작업 역시 자동화 및 정확성을 높혔다고 합니다. 포스코 DX는 최초 기본설계 단계부터 시뮬레이션 툴을 도입하여 차별화된 레이아웃을 설계하였으며 화물 처리량에 대해 사전 검증을 통해 물류 분류 시간 최소화 등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진 대전 스마트 메가허브: 지상 4층 규모, 연면적 14만8천230㎡(축구장 약 4개 크기)으로 시간당 12만 개의 물량 처리가 가능한 국내 최대 규모의 물류센터
(사진 출처: 포스코 DX) |
|
|
초저가 전략의 다이소가 초고속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다이소의 매장 수는 1,519개(공정위 발표, 23년 기준)를 돌파했으며, 2018년 이후 매년 10% 이상의 매출성장세를 통해 올해는 무난히 3조 클럽에 입성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2022년 매출 2조 9457억 원). 최근 이소몰과 샵다이소를 통합 개편 및 전국 익일 배송 서비스 기반 e커머스 시장의 본격적인 진입을 알렸는데요. 저렴한 가격(가성비)과 다양한 상품군이 강점 및 배송서비스를 통한 다이소의 성장세는 이어질 전망입니다.
(사진 출처: 다이소) |
|
|
판토스의 뉴스레터가 흥미로우셨나요?
흥미로우셨다면 많은 분들에게 저희의 서비스를 널리 알려주세요! 😍
|
|
|
커넥터는 LX판토스 전략기획담당 신성장기획팀에서
주간 단위로 편집 발행하는 주요 산업 동향 뉴스레터입니다.
건의사항, 피드백, 제보 등 여러분들의 의견은 아래 이메일로 부탁 드립니다📧
LX Pantos Co.,Ltd
Newgrowth_Letter@lxpantos.com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