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넥터
Weekly Logistics Newsletter by Pantos
(1월 4주차)
|
|
|
반갑습니다 ~ 청룡의 해가 밝았습니다!🐲
처음 인사 드립니다.
저희는 LX판토스 신성장기획팀입니다! 😊
올해부터 저희 팀에서는 매주 금요일
Logistics 관련 다양한 분야의
주요 소식들을 모아 '위클리 뉴스픽' 으로 정리,
여러분들께 전달드릴 예정입니다.
'Weekly Logistics News by Pantos' 로
매주 금요일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구독과 응원 부탁 드립니다. 💪
※ 뉴스제목을 클릭!! 하시면 관련뉴스로 이동되는 점 참조 드립니다 |
|
|
최근 미국 경제의 연착륙에 대한 낙관론이 부양되는 추세지만 아직 리세션(경기침체)의 Risk는 여전히 상존하다고 NYT(뉴욕타임즈)가 진단하였습니다. 인플레이션 하락, 실업률 감소, 기업실적 양호 전망(S&P500, 첨단 기술 주 중심 최고치 지속), 달러화 지수 상승(vs. 유로화와 엔화 가치 각각 0.4%, 0.1% 하락) 등 성장국면에 있다는 의견에 있으나 대다수의 이코노미스틀은 경기침체 위험 유발 원인으로 세가지로 요약/지적 하였는데요. 첫번째로 연준의 고금리 정책 여파 상존(신용카드 대출 사상 최고치, 주택시장 경색 등), 두번쨰로 인플레이션의 재상승으로 금리인하 시기 연기 가능성, 마지막 세번째로 불안정한 지정학적 위기(중동전쟁확산, 러우 전쟁 장기화, 중국 대만간 무력 충돌 가능성 등)를 꼽았습니다. 실물경제에 어떻게 반향될 지... 지켜봐야 될 것 같습니다
(사진 출처: NYT) |
|
|
덴마크 머스크(해운업계 2위)와 독일 하파그로이드(해운업계 5위)의 신규 해운동맹 ‘제미니 협력(Gemini Cooperation)’이 ‘허브 앤 스포크(Hub & Spoke)’ 전략을 제시하였습니다. 제미니 협력이 제시한 H&S 전략은 전 세계 물류 거점을 최대 활용하여 간선 서비스의 기항지는 최소화하고, 지선(피더) 서비스를 견고하게 구성하는 방식으로 항로를 최대한 짧고 간결하게 설정해 항로 간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돌발 변수에 빠르게 대응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궁극적으로 운송 서비스의 최우선 품질척도인 정시성(Schedule Reliability)을 확보하기 위함인데요. 글로벌 해운 업계의 평균 정시성은 코로나 팬데믹 전 80% 수준에서 30% 수준까지 떨어졌다가 최근 70% 수준을 회복되었고 제미니 협력은 90% 이상의 정시성 확보가 목표라고 밝혔습니다
※ 허브 앤 스포크 : FedEx에서 유래, 각 지점에서 발생되는 물량들을 중심이 되는 한 거점(허브)에 집중시킨 후, 각각의 지점(스포크)으로 다시 분류하여 이동시키는 시스템
(사진 출처: 항공위키)
|
|
|
가성비를 앞세운 C 커머스(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일명 ‘테·쉬·알’(테무, 쉬인, 알리익스프레스)라 불리우는 3인방의 MAU(월간사용자수)가 폭팔적인 증가한 반면, 국내 이커머스업체들의 MAU는 감소 추세 입니다. 테무의 경우 5,788명('23.4월) → 328만명('23.12월), 쉬인과 알리는 `23년 1월 대비 12월 MAU가 각각 9만명→ 39만명, 227만명→496만명으로 증가했는데요(vs. 동기간 쿠팡 2,759만명 →2,728만명, 11번가 862만명 → 744만명, 티몬 357만명 → 321만명으로 감소). 초가성비를 앞세운 판매전략과 공격적인 가격할인, 다양한 프로모션 및 빠른 직구 배송력을 바탕으로 한국 시장을 점유/확장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각 사) |
|
|
BMW는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스파턴버그의 생산공장에 휴머노이드 로봇 'Figure 01'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Figure 01'은 미국 AI로봇 스타트업체인 'Figure'에서 생산하는 인공지능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테슬라의 옵티머스와 유사한 형태로 향후 12~24개월 내에 차체 공장, 판금 및 창고를 포함한 여러 공정에 투입될 계획으로 알려 졌는데요. 첨단기술로 무장한 자동화 트렌드는 다양한 산업군으로 지속 확대/발전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공장: BMW의 유일한 미국 내 생산공장, 매일 약 1500대의 X시리즈 및 XM시리즈 차량을 조립. 직원 규모는 약 1만1000명, 수출액은 96억달러(약 12조8200억원) 수준 (사진 출처: Figure)
|
|
|
현대글로비스는 배터리 재활용 분야를 신사업으로 선정,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사업 확대를 위해 최근 배터리 재활용 전문업체 ㈜이알(2008년 설립)와의 지분 투자 계약을 체결하였고,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로부터 확보한 리튬 배터리 항공운송 인증 자격(2021년 취득)을 바탕으로 향후 동남아시아와 유럽, 북미 등 해외시장 및 국내에서 배출되는 배터리를 회수/수거 후 재활용하는 사업을 수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현대차그룹은 그룹차원의 TF인 '도시광산 밸류체인 구축’ 사업을 추진 중이며, 현대글로비스는 사업 Value Chain 내 배터리 회수와 재활용까지 부분을 담당할 예정. (사진 출처: 현대글로비스) |
|
|
중국최대의 물류업체 중 하나인 코스코는 동종업계인 이탈리아의 트라스고(TRASGO)를 인수 하였습니다. 이번 인수를 통해 유럽 지역에서의 사업기회 확대를 위한 물류 전과정의 디지털화를 통해 다양한 산업영역에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기업들의 유럽시장 진출 확대를 눈여겨 볼 사안인 것 같습니다. ※ 트라스고 : 종합물류기업, 이탈리아의 5대 지역에 14개 창고시설, 100대 트레일러와 200대의 운송트럭 보유. (사진 출처: 코스코) |
|
|
자율주행 모빌리티 솔루션 에이디어스가 시드 브릿지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투자 규모는 비공개) 2022년 10월 설립된 에이디어스는 상용차 안전 시스템 및 자율주행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체로 유럽 자동차 제조사와 양산 개발 계약을 통해 매출화를 달성했으며, 밸류체인 파트너사와 협업하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에이디어스) |
|
|
디지털 포워딩 서비스 '쉽다'를 운영하는 셀러노트는 60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에 성공하였습니다. 샐러노트의 총누적투자 금액은 136억원 규모이며 기본 투자자인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 KB인베스트먼트 外 엔베스터가 신규 투자자로 알려졌으며 1월 싱가포르에 서비스를 출시, 국내에는 1분기 중 런칭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셀러노트) |
|
|
판토스의 뉴스레터가 흥미로우셨나요?
흥미로우셨다면 많은 분들에게 저희의 서비스를 널리 알려주세요! 😍
|
|
|
커넥터는 LX판토스 전략기획담당 신성장기획팀에서
주간 단위로 편집 발행하는 주요 산업 동향 뉴스레터입니다.
건의사항, 피드백, 제보 등 여러분들의 의견은 아래 이메일로 부탁 드립니다📧
LX Pantos Co.,Ltd
Newgrowth_Letter@lxpantos.com
|
|
|
|
|